부업으로 월 100만원 벌기
월급 외 소득, 국세청에 잡힐까? 블로그·쿠팡·유튜브 수익 세금 총정리
드레찡2
2025. 4. 12. 06:30
월급 외 소득, 국세청에 잡힐까? 블로그·쿠팡·유튜브 수익 세금 총정리
부업으로 돈 벌었는데, 국세청에 신고 안 하면 어떻게 될까?
요즘 블로그, 쿠팡 파트너스, 유튜브로 수익을 내는 분들 많죠. 하지만 이 수익, 과연 세금 신고 대상일까요? 이 글에서는 월급 외 수익의 신고 기준, 세무처리 방법, 잡히는 경우 vs 안 잡히는 경우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.
1. 부업 수익, 신고 안 하면 잡힐까?
👉 정답: **거의 대부분 잡힙니다.**
애드센스·쿠팡파트너스·네이버 광고 등은 **지급 업체에서 국세청에 자료 제출**을 해요.
2025년 기준, 5만 원 이상 소득부터 모두 전산 기록됩니다.
2. 블로그, 유튜브, 쿠팡 수익별 세금 기준
- 구글 애드센스: 해외 수익 →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(지급명세서 없음)
- 쿠팡 파트너스: 원천징수 3.3% 후 지급 → 국세청 자동 통보됨
- 네이버 애드포스트: 국내 광고 수익 → 종합소득세 대상, 지급 명세서 제출됨
- 유튜브: 유튜브 수익은 애드센스를 통해 지급 → 해외소득으로 분류
3. 신고 안 하면 어떻게 될까?
👉 무신고 가산세 최대 20% + 납부 지연 시 9% 이자 발생
소득이 연 100만 원만 넘어도 **잡히면 추징 + 가산세가 큼**
특히, **사업자 없이 장기간 수익** 낸 경우 추징 금액 커질 수 있어요.
4. 신고는 어떻게 해야 할까?
- 연 소득 300만 원 미만: 사업자 등록 없이 기타소득으로 신고 가능
- 300만 원 이상: 사업자등록 후 간이·일반과세자 선택
- 종합소득세 신고: 매년 5월 홈택스 또는 손택스로 가능
팁: 노란우산공제 가입, 필요경비 정리, 경비율 적용 등으로 세금 줄이기 가능
5. 국세청에 덜 잡히는 구조는?
📌 현금 거래·해외 개인지급 수익 등은 일부 늦게 잡히거나 누락 가능성 있음
그러나 **쿠팡·네이버·구글**과 같은 대형 플랫폼은 99% 잡힙니다. 회피 불가능.
결론: 수익이 생겼다면 신고는 필수!
“조금 벌었는데 설마 잡히겠어?” 라는 생각, 2025년엔 통하지 않습니다.
AI 전산 시스템 + 제휴사 데이터 자동 수집으로 부업 수익도 국세청에 고스란히 전달됩니다.
신고를 안 하면 세금 폭탄 + 추징 가산세를 맞을 수 있어요.
💬 궁금한 부업 세금, 댓글로 남겨주세요!
전문가 상담을 연결해드리거나, 다음 글에서 풀어드릴게요 😊
🔔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구독으로 힘을 주세요!